반전세 5%인상 계산-렌트홈 임대료 계산기
“5% 인상 정도는 괜찮겠지…”라고 생각하고 전세 계약을 갱신했는데, 막상 월세로 따져보니 생각보다 훨씬 많이 오른 느낌, 받아보신 적 있으신가요?
특히 반전세처럼 보증금 일부에 월세가 섞인 구조에서는 5% 인상이라는 말이 오히려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 의미부터 실제 계산법, 그리고 국토교통부의 렌트홈 계산기까지
한 번에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많은 분들이 실수하는 부분이에요. 보증금 1억 원짜리 반전세에서 5% 인상이라면 500만 원 오르는 건가요?
아니요! 여기서 말하는 5%는 전체 보증금이 아니라 '전세보증금에서 월세로 전환된 금액' 기준입니다.
예를 들어:
- 보증금 1억 원 중 2,000만 원이 월세 전환 대상이라면,
- 그 2,000만 원에 대해 전월세 전환율 5%를 적용한 것이 인상 기준이 됩니다.
✔️ 예시 1
보증금 1억 → 이 중 2,000만 원을 월세로 전환
→ 5% 전환율 = 연 1,000,000원
→ 월세로 환산 = 약 83,000원
✔️ 예시 2
기존 월세 20만 원이었던 집에서 5% 인상을 말한 경우?
→ 5% = 월 1만 원 인상 = 21만 원
→ 하지만 전환율 5%를 초과해서 올릴 경우 분쟁 소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하는 렌트홈 임대료 계산기는 이런 복잡한 계산을 자동으로 해줍니다.
- 보증금
- 전환할 금액
- 적용 전환율
이 세 가지만 입력하면, 정확한 전환 월세 및 인상 한도를 확인할 수 있어요.
임차인이 계약갱신청구권을 행사했을 때는 임대인이 월세 인상에 제한을 받게 됩니다.
→ 법정 전환율을 초과하는 인상은 무효 또는 조정 대상이 될 수 있어요.
‘5% 인상’이라는 말에 속으면 안 됩니다.
정확히는 어떤 금액을 기준으로 하는지, 전환율이 법정 기준에 부합하는지를 반드시 체크해야 합니다.
✔️ 계약서 작성 전에 계산기 한 번 돌려보기
✔️ 인상 폭이 클 경우 협의 또는 이의 제기 가능
정보를 알고 대처하는 임차인이 손해보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