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실전 가이드62 상가임대차 중도 해지 시 주의할 점과 위약금 발생 기준 상가 계약, 위약금 없이 해지할 수 있을까?모든 해지가 ‘위약금 없이’ 되는 건 아닙니다상가 임대차 계약을 체결한 이후,생각보다 장사가 되지 않거나 개인적인 사정으로 인해예정보다 일찍 가게를 정리하고 싶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이럴 때 가장 먼저 드는 고민은,“계약 기간이 아직 남았는데 나가면 위약금을 내야 하나?” 하는 문제입니다.실제로 많은 임차인들이 계약 해지를 원하면서도위약금이 무서워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그렇다면 상가 계약은 어떤 경우에 위약금 없이 해지할 수 있을까요?모든 해지가 다 ‘정당한 해지’가 되는 것은 아니며,계약 내용과 해지 사유, 통보 방식에 따라 결과는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계약은 약속입니다. 하지만 언제든 깰 수 있는 건 아닙니다상가 임대차 계약은 민.. 2025. 5. 15. 실거래가 신고와 세금 기본 개념 - 중개사가 꼭 아는 업무 핵심 실거래가 신고와 세금 기본 개념 - 중개사가 꼭 아는 업무 핵심 부동산 거래 시 중개사가 반드시 관여하는 영역이 바로 실거래가 신고 + 관련 세금 상담(기초 수준)입니다. 단순한 신고 대행을 넘어, 세금 구조 이해 + 신고 기한 + 위반 시 과태료 위험까지 숙지해야 실수 없이 고객에게 신뢰를 줄 수 있습니다.1. 실거래가 신고 – 방법 & 기한신고 대상: 주택 매매 계약 체결 시신고자: 2023년 7월부터는 중개사가 계약한 경우 실거래 신고 의무 있음신고처: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 (rtms.molit.go.kr)기한: 계약일로부터 30일 이내신고 내용: 매매가액, 계약금, 잔금일, 면적, 주소 등과태료 규정:- 허위 신고 시: 최대 3,000만 원- 미신고 or 지연 신고: 500만 원 이하 과태료- 중.. 2025. 4. 6. 전세 계약갱신, 집주인이 거절할 수 있는 경우는? 전세 계약갱신, 집주인이 거절할 수 있는 경우는? 요약: 임차인의 계약갱신요구권은 원칙적으로 1회 행사할 수 있지만, 집주인도 법적으로 정당한 사유가 있다면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가능한 사유를 구체적으로 살펴봅니다.계약갱신 요구권이란?2020년 7월 31일부터 시행된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에 따라, 임차인은 기존 계약이 끝나기 전 6개월~2개월 사이에 계약갱신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집니다. 단, 1회에 한해 행사 가능하며, 임대인은 일정 사유가 있을 경우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임대인이 거절할 수 있는 정당한 사유직계존속 또는 본인의 실거주임대인 또는 그 직계존속이 실거주를 목적으로 거주 예정인 경우임차인의 의무 위반임대차 계약상 의무(임대료 미납, 무단 전대 등)를 중대하게 위반한 .. 2025. 4. 6. 중개사무소에서 자주 듣는 실전 부동산 질문 7가지 중개사무소에서 자주 듣는 실전 부동산 질문 7가지요약: 중개사무소 실무 현장에서 자주 접하는 고객 질문을 모았습니다. 실거래 신고, 계약 해제, 세금, 특약 등 실제 중개 과정에서 꼭 나오는 주요 질문 7가지를 정리했습니다.실전 질문 Q&AQ1. 실거래가 신고는 누가, 언제까지 하나요?매수·매도인 또는 중개사가 계약일로부터 30일 이내 신고해야 합니다. 중개 거래는 보통 중개사가 대행합니다.Q2. 계약금만 주고 파기하면 위약금은?계약 당사자가 계약금을 포기하거나 배액상환하는 조건으로 해제할 수 있습니다. 계약금 지급 후부터 해제권이 발생합니다.Q3. 전세 계약 중도 해지 가능한가요?임차인의 사정으로 해지할 경우, 임대인의 동의 없이 중도 해지가 어렵습니다. 단, 계약서 특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Q.. 2025. 4. 6. 이전 1 2 3 4 5 6 7 ··· 16 다음